[10장]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다수의 사용자가 OPS 클래스의 오퍼레이션을 사용한다. User1은 오직 op1을, User2는 op2만을, User3는 op3만을 사용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리고 OPS가 정적 타입 언어로 작성된 클래스라고 해보자. 이 경우 User1에서는 op2와 op3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에도 User1의 소스 코드는 이 두 메서드에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의존성으로 인해 OPS 클래스에서 op2의 소스 코드가 변경되면 User1도 다시 컴파일한 후 새로 배포해야 한다. 사실 User1과 관련된 코드는 전혀 변경되지 않았음에도 말이다. 이러한 문제는 오퍼레이션을 인터페이스 단위로 분리하여 해결할 수 있다.
<ISP와 언어>
정적 타입 언어는 사용자가 import, use 또는 include와 같은 타입 선언문을 사용하도록 강제한다. 이처럼 소스 코드에 ‘포함된(included)’ 선언문으로 인해 소스 코드 의존성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재컴파일 또는 재배포가 강제되는 상황이 무조건 초래된다. 파이썬과 같은 동적 타입 언어에서는 소스 코드에 이러한 선언문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런타임에 추론이 발생한다. 따라서 소스 코드 의존성이 아예 없으며, 결국 재컴파일과 재배포가 필요없다. 동적 타입 언어를 사용하면 정적 타입 언어를 사용할 때보다 유연하며 결합도가 낮은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ISP와 아키텍처>
일반적으로, 필요 이상으로 많은 걸 포함하는 모듈에 의존하는 것은 해로운 일이다. 소스 코드 의존성의 경우 이는 분명한 사실인데, 불필요한 재컴파일과 재배포를 강제하기 때문이다.
F에서는 불필요한 기능, 따라서 S와는 전혀 관계없는 기능이 D에 포함된다고 가정하자. 그 기능 때문에 D 내부가 변경되면, F를 재배포해야 할 수도 있고, 따라서 S까지 재배포해야 할지 모른다. 더 심각한 문제는 D 내부의 기능 중 F와 S에서 불필요한 그 기능에 문제가 발생해도 F와 S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다.
<결론>
불필요한 짐을 실은 무언가에 의존하면 예상치도 못한 문제에 빠진다.
'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린 아키텍처:소프트웨어 구조와 설계의 원칙(Clean Architecture) - 4부 : 컴포넌트 원칙 (12장) (0) | 2020.03.06 |
---|---|
클린 아키텍처:소프트웨어 구조와 설계의 원칙(Clean Architecture) - 3부 : 설계 원칙 (11장) (0) | 2020.03.05 |
클린 아키텍처:소프트웨어 구조와 설계의 원칙(Clean Architecture) - 3부 : 설계 원칙 (9장) (0) | 2020.03.03 |
클린 아키텍처:소프트웨어 구조와 설계의 원칙(Clean Architecture) - 3부 : 설계 원칙 (8장) (0) | 2020.03.02 |
클린 아키텍처:소프트웨어 구조와 설계의 원칙(Clean Architecture) - 3부 : 설계 원칙 (7장) (0) | 2020.03.01 |
댓글